[AWS] EC2 Linux 서버 한국표준시간으로 변경하기
기본 UTC로 되어있는 타임존을 Asia/Seoul 로 변경해서 사용하다가, 인스턴스가 재시작 되거나 했을 때, 다시 UTC로 돌아오는 경우도 종종 있다. 재시작 되어도 리셋되지 않게 설정 해보자 1. 기본 타
mosei.tistory.com
위 처럼 일반 EC2 환경에서 타임존 변경 작업을 해놨을때,
Elastic Beanstalk 환경을 사용 중이라면 /ect/sysconfig/clock 에서 변경한 값들도 다 초기화가 되어 버리기 때문에
다시 KST가 아닌 UTC로 돌아가게 된다.
그렇다면 아래의 방법으로 EB 배포시, 셋업을 시켜주는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.
[AWS] EB(Elastic Beanstalk) .ebextensions 사용하기
EB의 장점 : - 서버운영 및 인프라에 대해 잘 알지 못하더라도 AWS 클라우드에서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손쉽게 할 수 있다. - 로드밸런싱, 오토스케일링,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 등 주요한 여러 기
mosei.tistory.com
배포할 웹 애플리케이션의 root 위치에
.ebextensions/05-setup-timezone.config
위 형태로 config 파일을 생성 후 아래와 같이 작성 후 배포한다.
commands:
create_post_dir:
command: mkdir /opt/elasticbeanstalk/hooks/appdeploy/post
ignoreErrors: true
files:
"/opt/elasticbeanstalk/hooks/appdeploy/post/01-run-script.sh":
mode: "000755"
owner: root
group: root
content: |
#! /bin/bash
rm /etc/localtime
ln -s /usr/share/zoneinfo/Asia/Seoul /etc/localtime
여러가지 .config 파일을 포함한 경우에는
앞단에서 실행되는 .config 파일에
command: mkdir /opt/elasticbeanstalk/hooks/appdeploy/post
위 커맨드가 포함되어 있다면,
위 예제에서 mkdir 은 할 필요가 없고, 밑에 files: 부분만 작성해주면 된다.
그럼 EB에 배포할 때마다 새로 타임존이 KST로 세팅 된다.
'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WS] AWS CLI를 통해 S3 로 파일 업로드 하기 (0) | 2021.03.24 |
---|---|
[AWS] Elastic Beanstalk 콘솔 에서 Laravel 로그 받는 방법 (0) | 2021.03.16 |
[AWS] EC2 Linux 서버 한국표준시간으로 변경하기 (0) | 2021.03.10 |
[AWS] Lightsail 서버에 접근 IP 설정하기 (0) | 2021.03.09 |
[AWS] S3 권한 설정 하기 (IAM) (0) | 2021.03.09 |